본문 바로가기
곤충

나비는 어떤 곤충인가요?

by 평라생 2022. 11. 2.

나비는 어떤 곤충인가요?

나비는 나비목에 속하는 날개 달린 곤충으로 대형 나방 군중에서 자나방 사촌 상과, 팔랑나비 상과, 호랑나비 상과 이 3상에 속하는 곤충들을 일컫습니다. 전 세계에 총 일곱 개의 과와 2,000여 속에 약 18,000종~20,000종이 보고되어있고 우리나라에는 2상과 5과 280종 이상이 보고되어있습니다. 특히 열대우림지역에 대부분의 종이 살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거의 모든 곳에 서식하고 있습니다. 다. 전 세계적으로 나비는 15,000~20,000여 종으로, 날개의 길이가 1~28cm까지 다양하고. 나비의 일생은 성충·알·유충·번데기의 네 단계를 거칩니다.
특히 번데기는 종류에 따라서 특징이 다른데, 대부분 보호색을 나타내는 빛깔을 띠며 성충인 나비는 대부분 꽃에서 꿀을 빨아먹으며 살고 있으나, 오색나비나 신선나비 무리와 그늘나비 무리들은 나무의 수액을 빨아먹고 삽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나비를 연구한 사람으로는 생물학자 석주명 선생님이 계시며 나비 채집과 우화를 목적으로 한 나비 애벌레 사육이 취미인 사람들이 있을 정도로 사람들의 사랑을 많이 받는 곤충입니다.

형태

나비는 낮에 활동하는 곤충으로, 머리에 한 쌍의 더듬이와 두 개의 겹눈이 있고 가슴에는 큰 두 쌍의 잎 모양 날개가 있으며, 머리와 가슴 쪽을 자세히 보면 빽빽한 솜털이 나 있습니다.
성충의 몸은 머리·가슴·배의 세 부분으로 나뉘며, 머리에는 한 쌍의 촉각, 한 쌍의 겹눈 및 입, 가슴에는 두 쌍의 날개, 세 쌍의 다리가 있으며, 겹눈은 대단히 커서 머리의 반 이상을 차지하며, 홑눈은 없습니다.
나비 특유의 아름다운 날개는 날개에 묻은 날개 비늘인 인분(鱗粉)에 의한 것인데, 인분 자체는 무색이나 이것이 나노 단위의 기하학적인 구조로 층층이 쌓여 특정 빛을 반사하고 나머지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색깔을 띠게 된다고 합니다. 모시나비처럼 날개가 투명해 보이는 나비도 있는데 이 경우엔 인분이 거의 없어 파리나 매미처럼 날 개막이 투명해 보이는 것입니다.
나비의 날개 비늘 인분 경우 채취도 어렵고 채취를 한다고 해도 아름다운 색깔의 가루가 묻어 나오는 일은 없어서 나비의 짝짓기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되도록 건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이 인분의 존재로 미끄러지기 쉬워 천적에게 붙잡혀도 달아날 수 있고 거미줄에 붙어도 달아날 수 있습니다. 나비의 날개는 2장만으로도 나는 데 지장이 없다고 하는데 굳이 2개가 더 있는 이유는 새에게 잡아먹히지 않을 만큼 현란하고 불규칙한 비행 패턴을 위해서라고 합니다.
사실 벌레인데도 사람들이 별로 싫어하지 않는 몇 안 되는 곤충으로 특유의 아름다운 날개를 가져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고, 대칭구조와 날개 무늬 때문에 상징적인 명칭으로도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생식

나비의 짝짓기는 시각과 후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시각적인 신호로 구애 행동을 할 때는 날개 비늘로 자외선을 반사하여 신호를 보내고, 페로몬을 이용하여 멀리 있는 상대를 유인하기도 합니다. 짝짓기가 끝난 후 대부분의 수컷은 죽고 암컷은 몇 시간 안에 알을 낳습니다. 주로 유충이 쉽게 먹이에 도달할 수 있는 부드러운 풀의 잎눈·꽃눈 등에 산란합니다.
알은 둥근형·반원형·만두형·포탄형·맥주 통 형 등 여러 가지가 있고, 알껍데기 표면에 구릉이나 돌기·조각 등이 있는 것이 많고 유충은 일반적으로 가늘고 깁니다
나비는 미각이 매우 뛰어나기로 유명한데 맛을 감지하는 기관이 입뿐만이 아니라 발에도 달렸습니다. 또한 긴 주둥이는 평상시에는 태엽처럼 감겨 있는데 나비가 꽃에 앉으면 발로 맛을 보고 맛있는 꿀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주둥이가 펴진다고 합니다.

'곤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미  (0) 2022.11.04
배추벌레 나비  (0) 2022.11.03

댓글